금융

전세보증금반환대출 은행 규제와 한도, 부족 시 추가 자금 마련 방법까지 알려드림

꿀정보를 모아모아 2024. 6. 27.
반응형

 

 

줄지 않는 전세금 반환 사고

여전히 전세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뉴스에 나오는 사고들은 대부분 악독한 인간들이 애초에 사기를 칠 마음으로 벌인 수십억 수백억의 대형 사고가 나오고 있어요.

하지만 그 외에도 정확한 전세보증금반환대출 규제를 몰라서, 한도가 조금 부족해서, 다음 세입자의 입주시기가 맞지 않아서 발생하는 부득이 한 전세사고도 있어요.

이번엔 퇴거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임대인들에게 도움이 될 세입자퇴거대출 은행 규제와 한도 부족 시 추가 자금 마련 방법을 안내드릴께요.

 

 

규제 및 가능 한도

은행의 전세보증금반환대출은 전세 계약이 종료될 때 보증금을 돌려받기 전 임대인에게 보증금을 반환받기 위해 필요한 자금을 대출해주는 상품이에요. 이 대출 상품은 주로 임대인이 새로운 임차인의 보증금을 받기 전까지의 자금 공백을 메우기 위해 사용되죠.

전세보증금반환대출은 주담대 중 생활안정자금에 포함되기 때문에 LTV DSR 규제가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어요.

때문에 이용 지역과 주택보유수에 따라 한도가 달라지고, 차주의 소득과 부채 비율에 따라서도 가능 한도가 차등 적용되요.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아파트 시세의 40%부터 70% 사이에서 이용자의 조건에 따라 한도가 달라져요.

 

 

한도 부족 시 해결 방법

만약 LTV DSR 등 은행 규제 때문에 전세보증금반환대출 한도가 살짝 부족하다면 보험사에서 해결할 수도 있어요. 보험사 DSR은 50%로 은행 40%보다 조금 더 높기 때문이죠.

은행 또는 보험사에서 최대로 받았지만 자금이 부족한 경우라면 은행 보험사 외 2금융권 3금융권에서 부족한 자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 은행 보험사 외에는 주담대 규제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인데, 문제는 이런 업체들은 금리가 상당히 높고 업체마다 이용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성급히 이용하는 것은 위험해요.

은행 원세  전세보증금반환대출 규제와 은행 보험사별 금리 비교, 내 상황에 딱 맞는 부족한 자금 해결 방법은 카카오톡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