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주담대 상환 방법 거치식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잘 알고 써야죠

꿀정보를 모아모아 2024. 6. 26.
반응형

 

 

주담대를 받을 땐 상환 방법도 상당히 중요하게 비교해야 하는데요. 먼저 대표적인 상환방법인 '거치식(만기일시상환)'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세가지 방식의 뜻을 정리해드릴께요.

 

상환 방법 안내

 

거치식 주담대

- 대출 기간동안 매월 이자만 납입하다 만기에 원금을 모두 상환하는 방식으로 '만기일시상환'으로도 불림

원금균등상환

- 매월 주담대  원금을 균등하게 나눠 갚는 방식으로, 원금이 줄어드는 만큼 이자도 줄어들어 초반에 많이 내고 점점 상환금액이 줄어드는 방식

- 같은 금액을 받을 때 원리금균등상환보다 이자가 적음, 초기 상환 부담이 높음

- 현재 자금 여유가 있으면서 이자 부담을 낮추고 싶은 사람에게 유리

원리금균등상환

- 매월 대출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이 동일한 상환 방식

- 일정한 소득을 버는 직장인 등 월 지출관리가 필요한 사람에게 유리

 

상환 방법 선택 시 유의사항

먼저 현재 은행 보험사 주담대는 거치식(만기일시상환) 방식을 이용할 수 없어요.

수년전까지만해도 있었는데, 부동산 붐 시기를 거치며 많은 사람들이 장기로 주담대를 받은 후 만기가 다가오는 시기에 원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상황이 급증하자 현재는 원금균등상환방식 원리금균등상환방식으로 매월 원금과 이자를 상환해가는 규제를 적용했어요.

때문에 은행 보험사 주담대를 이용할 때는 현재 상환능력을 바탕으로 원금균등 원리금균등 방식 중 한가지 방법을 택해야 해요.

거치식은 보통 2금융권 3금융권 주담대에서 이용할 수가 있는데, 단기간 급하게 자금이 필요한 경우에 중도상환수수료 조건을 잘 활용하면 매월 상환 부담을 크게 낮춰 몫돈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요즘처럼 전세보증금반환자금 문제가 심각한 시기에 다음 세입자가 들어오기 전까지 부족한 보증금을 돌려주는데 아주 요긴하게 쓰이기도 해요.

 

신경써야 할게 많은 주담대

 

금액이 한두푼이 아닌데 주담대 받을 때 신경써야 하는 부분이 어디 상환방법뿐일까요?

당연히 내 LTV DSR은 몇 %인지, 내가 받을 수 있는 정확한 금리는 몇 %인지, 필요서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은행 보험사 주담대 이용이 어려운 상황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알아야 할 것들이 많아요.

카카오톡 무료 상담을 이용해보세요. 상환 방법부터 금리 비교, 자금 마련 방법까지 한 번에 해결해드릴께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