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 1등급도 4%대?
지난 3월 실행 된 국민은행 신규 주택담보대출 실행자들 중 신용점수 만점자, 기존 신용1등급의 고신용자가 4.09%였습니다.
당연히 신용점수가 더 낮은 사람들은 금리가 올라갈테고, 그 와중에 금리를 할인받을 수 있는 조건들을 다 채우지 못하는 경우에도 금리는 더 올라갈 거에요.
오늘은 고금리 시기 시중 은행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를 효율적으로 비교하는 방법을 안내드릴께요.
먼저 현재 주택담보대출의 흐름을 정리해드립니다.
현재 주택담보대출 흐름은?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 추세
최근 은행들이 신규 취급하는 주담대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의 3월 신규 취급 주담대(만기 10년 이상 분할 상환) 금리는 평균 4.11%로, 신용 1등급 차주에게 적용된 금리는 4.09%입니다. 이는 전달 대비 0.16%포인트 상승한 수준입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신용 1등급 차주 주담대 금리도 각각 3.99%, 3.96%로 4%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주담대 금리 상승 배경
1,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꺾임
그동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주담대 금리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은행채(5년물·AAA) 금리가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2, 은행채 금리 상승
5년 만기 은행채 금리는 지난달 30일 기준 3.933%로, 지난 3월 말(3.764%)과 비교해 한 달 새 0.169% 상승했습니다.
이는 주담대 금리의 준거가 되는 은행채 금리가 오른 데 따른 것입니다.
3, 차주의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
빠르게 뛰는 시장금리로 인해 주담대 금리가 강한 상승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차주(돈 빌린 사람)들의 원리금(원금+이자) 상환 부담이 점점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효율적인 금리 비교 방법은
핀다 토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시중 은행 주담대 금리 비교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플랫폼들이 있어요.
하지만 써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어디까지나 부동산 정보와 내가 입력한 부정확한 수치를 바탕으로 결과를 뽑아주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특정 은행을 지정해 상담 신청을 하면 결과가 크게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아직까지는 참고용이라고 봐도 무방하죠.
결국 가장 정확하게 가능한 한도를 먼저 확인하기 위해서는 어느 은행이든 실제 상담을 진행해 가능한 최대 한도를 체크해보는 것이 유리합니다.
은행 주택담보대출은 동일한 LTV DSR 규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어디를 가도 한도는 동일하니, 이후에 각 은행별로 다른 금리할인 항목(부수거래조건)을 잘 비교해 유리한 은행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현재 은행별 부수거래 조건이 어떤것들이 있는지, 고정금리 변동금리 차이, 주택구입자금 생활안정자금 전세퇴거자금 등 용도 차이,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단독주택 등 주택의 형태 차이에서 발생하는 금리를 정확히 알긴 어렵죠.
그래서 전문가 상담으로 확인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상담은 무료로 받고 내가 원하는 은행에서 직접 실행을 하시면 끝!
내 신용점수로 받을 수 있는 시중 은행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가 궁금하다면 카카오톡 무료 상담으로 간편하게 확인해보세요.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변동금리 비교 할 때 주담대 기준금리 가산금리 정도는 알아야죠 (0) | 2024.05.07 |
---|---|
아파트추가담보대출 금리 한도와 용도에 따른 이용 방법 어떻게 알아보지? (0) | 2024.05.07 |
은행 주택담보대출 받을 때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빌라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차이점은? (1) | 2024.05.02 |
주담대 금리 비교 중인데 신규취급액기준 잔액기준 신잔액기준 코픽스는 뭔가요? 주택담보대출 어렵네요... (0) | 2024.05.02 |
스트레스DSR 안보는 주택담보대출? 상반기는 은행만 하반기는 보험사까지 적용되요 (1) | 2024.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