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변동금리 비교 할 때 주담대 기준금리 가산금리 정도는 알아야죠

꿀정보를 모아모아 2024. 5. 7.
반응형

 

알아두면 유용한 주담대 금리 개념

 

안녕하세요 모아모아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은행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변동금리 비교 방법과, 주담대 기준금리 가산금리 등 실제 금리가 어떻게 나오는지를 알려드릴께요.

요즘 주담대 금리가 고정금리 변동금리 할 것 없이 오르고 있고, 스트레스금리도 적용되고 있고, 시중 은행에서는 고정금리 비중을 확대한다고 하는 등 좀 복잡한 상황인데요.

오히려 이런 뉴스 때문에 내 집 마련을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받아야 하는 분들과 또는 갈아타기 시점을 계획중인 많은 분들의 머릿속이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지금 진행하는게 맞는건가? 더 내려가면 어떻게하지?'

'왜 내 금리하고 최저금리는 차이가 이렇게 크지?'

등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습니다.

때문에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비교 전 고정금리 변동금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될거라 생각됩니다.

고정금리는 채권에, 변동금리는 코픽스에 연동

가장 중요한 것은 주택담보대출은 변동금리와 고정금리의 구성 요소가 다르다는 점이에요.

우리가 뉴스에서 쉽게 보는 '코픽스금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만 영향을 주게 됩니다.

고정금리는 기준금리와 무관하게 채권시장의 흐름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중에서도 금융채5년물과 연동되어 있는데 뉴스에서 미국채가 상승했다는 소식이 들리면 우리나라 은행 주담대 고정금리도 상승할거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 코픽스 금리와 국고채5년물은 같이 상승할 수도, 같이 하락할 수도, 서로 다른 흐름을 보여줄 수도 있으니 개별적으로 확인을 해 향후 주택담보대출고정금리가 유리할지, 변동금리가 유리할지 판단행 해야 하는거죠.

기준금리+가산금리-할인금리=소비자금리

 

다음으로는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안내드릴께요.

가끔 문의주시는 분들 중에

'기준금리가 3.5% 라는데 그럼 제가 신용점수도 만점이고 소득도 높으면 은행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이 금리가 가능한건가요?

라고 문의를 주시는데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기준금리는 간단하게 말해 상품의 원가라고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우리가 치킨을 한마리 시켜먹어도 생닭 값에 치킨브랜드의 유통과정 영업마진 등이 더해진 금액을 지불해야 하고 만약 이벤트 쿠폰이나 할인카드가 있다면 일정 금액을 할인받을 수 있는데요.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똑같습니다.

생닭 금액(기준금리) + 브랜드별 유통 마진(은행별 가산금리) - 할인이벤트(부수거래조건) = 치킨값(실제 이용하게되는 내 금리)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주담대 금리비교 한 번에 해결하려면

은행들도 결국 이윤을 남겨야 하는 영리기업이기 때문에 기준금리에 각 은행별로 가산금리를 더하는데 은행마다 그 정도가 다릅니다. 또한 신용카드개설, 자동이체, 다자녀, 적금개설 등 이런저런 조건을 충족하면 0.1~0.2% 정도 씩의 금리를 할인 받을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결국 은행별로 이 내용들을 모두 비교해야만 나에게 가장 유리한 은행을 찾을 수 있습니다.

별것 아닌듯 하지만 은근히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부동산대책으로 금융환경도 많이 달라져서 예상하지 못한 변수들이 나오기도 합니다. 또 각 은행마다 방문해 정보를 수집했다 하더라도 그 중에 뭐가 제일 유리한건지 딱 정하기도 좀 애매하죠.

생각보다 복잡한 듯 하지만, 사실 은행 주담대 상담 시에는 다 알지 못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어차피 심사를 받아보면 위 내용들을 적용한 가능 금리를 한 번에 안내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문제는 은행마다 금리 할인 항목이 다르기 때문에 내가 어떤 은행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해야 금리가 낮아지는지, 내가 받을 시점의 금리는 고정금리가 유리할지 변동금리가 유리할지 등을 직접 비교하는게 어렵다는데 있습니다.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비교 및 고정금리 변동금리 궁금증, 은행별 주담대 금리 할인 항목 등이 궁금하다면 카카오톡 무료 상담으로 간편하게 확인해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