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아파트매매잔금대출 받을 때 DSR DTI 부터 확인하세요

꿀정보를 모아모아 2024. 5. 8.
반응형

 

오늘은 은행 아파트매매를 앞둔 분들이라면 많이 들어보셨을 DSR DTI에 대해서 소개드릴께요.

이게 정보를 읽어봐도 좀 헤깔리기도 하고, 꼭 알아야 하나 싶기도 하지만 사실 아파트매매잔금대출 이용 시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무조건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입니다.

먼저 단어의 뜻부터 알아보겠습니다.

DSR

아파트매매잔금대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연 소득 대비 모든 이용중인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의 비율을 말합니다. 앞으로 받아야 할 잔금대출의 원리금도 여기에 넣어서 산출을 해야하죠.

예를 들어, 연 소득이 1억원인 직장인이 현재 이용중인 부채의 원리금 상환금액이 연간 2천만원이라면 DSR 20%가 됩니다. 만약 여기에 아파트매매잔금대출을 2억 3억 등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대출금리와 기간에 따라 연간 상환해야 할 원리금까지 합산해 총 DSR이 몇%가 나오는지 계산할 수 있죠.

현재 은행 아파트매매잔금대출 DSR은 40%를 넘지 못하기 때문에 주택담보대출의 연간 원리금이 2천만원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참고로 DSR의 연소득 기준은 증빙소득(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사업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등), 인정소득(국민연금 및 건강보험 등 공공기관 발급 자료), 신고소득(이자, 배당금, 임대료, 카드 사용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TI

 

아파트매매잔금대출 DTI(총부채상환비율)는 DSR보다 약간 완화된 지표로 총부채의 원리금이 아니라 주담대 외 부채는 이자만 적용한 지표를 말해요.

이 DTI는 디딤돌 보금자리론 적격대출 등 정부 상품에 적용되는 지표입니다.

DTI =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이자 상환액) 나누기 연간 소득

DSR =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원리금 상환액) 나누기 연간 소득

DTI와 DSR의 계산법은 위와 같으며 아파트매매잔금대출을 받을 수 있는 자격 조건임과 동시에,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나중에 잔금이 부족해 문제를 겪지 않으려면 은행별 금리 비교에 앞서 정확한 DSR DTI를 확인해야 합니다.

매매잔금 관련 모든 궁금증은?

아파트매매잔금대출을 이용하기 전 DSR DTI 외에도 1주택자인지 무주택자인지 다주택자인지, 아파트인지 빌라 다세대주택 오피스텔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등 부동산인지 등에 따라서도 결과가 달라지는 만큼 정확한 정보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카카오톡 무료 상담을 이용하면 이 모든 궁금증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