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주택담보대출 중도상환수수료 계산 방법과 절감 팁

꿀정보를 모아모아 2024. 4. 17.
반응형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바로 주택담보대출 중도상환수수료 계산 방법과 수수료 절감 팁입니다~

약속 된 기간 전에 대출원금을 상환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인데 이게 문제가 되는 경우는 주택담보대출갈아타기 시, 세입자퇴거자금 용도로 단기 자금 마련 후 상환 시 등이 있어요.

그럼 바로 계산 방법 들어갑니다!

주택담보대출 중도상환수수료 계산 방법

 

계산 공식

중도상환수수료 = (대출금액 x 중도상환율 x 잔존기간) / 대출기간

대출금액은 실제 대출받은 금액이에요.

중도상환율은 금융기관별, 상품별로 다르게 책정되는 비율(최대 2%)이에요.

잔존기간은 대출 남은 기간(만료일까지 남은 기간)이에요.

대출기간은 처음 약속한 대출 기간이에요.

예시

대출금액 : 1억원

중도상환율 : 1.5%

잔존기간 : 2년 (24개월)

대출기간 : 5년 (60개월)

중도상환수수료 = (1억원 x 1.5% x 24개월) / 60개월 = 400만원

주의사항

중도상환 시 위의 계산 공식에 따라 계산된 수수료를 지불해야 해요.

중도상환수수료는 금융기관별, 상품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신청 전에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일부 금융기관은 특정 조건 (예: 만기 3년 이내 상환 시 면제) 하에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하거나 할인해줄 수 있어요.

중도상환 시에는 담보대출 해지신청 및 상환 절차를 따라야 해요.

중도상환수수료 절감 팁

잔존기간이 길수록 수수료가 많이 부과되므로 가능한 한 짧은 잔존기간에 상환하는 것이 좋아요. 또한 금융사별로 중도상환수수료 면제/할인 혜택 등을 제공하기도 하니 이 혜택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아요.

만약 중도상환수수료가 발생하더라도 진행을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주택담보대출 전문가와 상담하여 상황에 맞는 최적의 중도상환 방법을 찾아야해요.

이렇게 주택담보대출중도상환수수료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요즘은 각 금융사들 홈페이지에 자세하게 안내가 되어있고, 상담시에도 정확히 소비자가 숙지할 수 있도록 안내를 해줘야하는 의무가 있어서 크게 걱정할 문제는 아니긴 해요.

하지만 남아있는 원금이 클수록 더 큰 금전적 손실을 발생하기 때문에 이런저런 부대비용까지 발생하는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를 실행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아요.

시중 은행 보험사 주택담보대출을 처음 받을 때 중도상환수수료 조건이 어떻게 되는지, 갈아타기 시 어떻게 해야 효율적인지 등이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카카오톡으로 확인해보세요~

반응형

댓글